본문 바로가기
건강정보

뎅기열 증상 전염성 예방접종

by 당건요정 2025. 4. 25.
반응형

 

뎅기열 증상 전염성 예방접종

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(Dengue virus)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, 모기에 의해 전파됩니다. 특히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흔하게 발생하며, 고열과 심한 근육통을 동반하는 특징이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뎅기열의 주요 증상, 전염성, 그리고 예방접종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1. 뎅기열의 주요 증상

뎅기열의 증상은 감염 후 4~10일 이내에 나타나며, 경미한 증상부터 중증까지 다양할 수 있습니다.

일반적인 증상

  • 고열: 39~40°C 이상의 갑작스러운 고열이 발생합니다.
  • 심한 두통: 특히 이마 부위에서 두통이 심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  • 눈 주위 통증: 눈 뒤쪽이 아프거나 압박감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.
  • 근육 및 관절통: 몸 전체가 쑤시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며, '뼈를 부수는 듯한 통증'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.
  • 피부 발진: 뎅기열 환자의 일부는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.
  • 메스꺼움 및 구토: 소화기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.

중증 뎅기열(뎅기 출혈열) 증상

일부 환자는 중증 뎅기열로 발전할 수 있으며, 이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.

  • 심한 복통 및 지속적인 구토
  • 호흡 곤란
  • 잇몸 출혈 또는 코피
  • 혈압 저하로 인한 쇼크

2. 뎅기열의 전염성

뎅기열은 사람 간 직접적인 전염이 되지 않으며, 감염된 모기를 통해 전파됩니다.

전파 경로

  •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모기에 물리면, 모기가 바이러스를 보유하게 됩니다.
  • 이 감염된 모기가 다른 사람을 물게 되면 바이러스가 전파됩니다.
  • 주로 이집트숲모기(Aedes aegypti)와 흰줄숲모기(Aedes albopictus)가 주요 매개체입니다.

전염성 기간

뎅기열 환자는 감염 후 4~5일 동안 모기에 의해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으며, 최대 7일까지 전염성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.

3. 뎅기열 예방 및 예방접종

뎅기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, 백신 접종도 예방 방법 중 하나입니다.

예방접종

뎅기열 예방을 위한 백신은 일부 국가에서 접종이 가능하며, 대표적인 백신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.

  • Qdenga: 최근 승인된 백신으로 4가지 뎅기 바이러스 유형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가짐.
  • Dengvaxia: 뎅기열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 사용되며, 일부 국가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됨.

모기 회피 및 방제 방법

  • 긴 옷을 입고, 모기가 많은 지역에서는 피부 보호를 강화
  • DEET, 이카리딘(Picaridin) 성분이 포함된 모기 기피제 사용
  • 집 주변의 고인 물 제거(모기 번식 방지)
  • 방충망 및 모기장 사용

마무리하며

뎅기열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감염병으로, 예방이 가장 중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. 고위험 지역을 방문할 경우 모기 기피 방법을 철저히 지키고, 백신 접종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 초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
반응형